‘위안부 피해자’ 잇단 사망
상태바
‘위안부 피해자’ 잇단 사망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01.07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잇따라 세상을 떠나고 있지만 일본은 한일청구권 협정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비롯한 모든 청구권이 소멸됐다면서 피해자들의 배상 요구를 거부하고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3일 황금주(92) 할머니가 노환으로 또 세상을 떠나 정부 등록 피해자 234명 중 176명이 사망한 셈이다.
황 할머니는 1941년부터 광복때까지 일본군 성(性)노예로 살았던 그는 1992년 피해신고를 한 후 유엔 인권소위원회에서 피해 사실을 진술하는 등 일본의 만행을 고발하고 사죄를 촉구하는데 앞장섰다.
이처럼 위안부 피해자들이 모두 세상을 떠나는 상황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사실상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오히려 자국의 정치적 필요에 따라 과거 일부 인정했던 잘못마저 부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간 경기침체로 야기된 국민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는 과정에서 사회 전체가 급격히 우경화됐고 \'강하고 위대한\' 일본에 해가 되는 일본군 \'위안부\'는 일본에서 그 존재 자체를 부인당하고 있는 것이다.
보수 성향인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최근 언론과 인터뷰에서 과거 한국 등 점령지 여성을 위안부로 동원하는 등의 침략 행위를 한 사실을 사과한 담화들을 수정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이는 자신의 지지층을 만족시키기 위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일본은 1993년과 1995년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를 통해 일본군이 아시아, 유럽 여성을 위안부로 동원한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한 바 있다.
한국과 중국 등 피해 국가는 국제 연대를 통해 일본을 압박하고 있고 일본의 가장 중요한 외교 파트너인 미국도 여성 인권 측면에서 압박에 동참하고 있다.
피해자들이 모두 세상을 떠나기 전 일본의 사죄와 배상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정부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 박근혜 당선인의 관심과 대응방안 마련을 촉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