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카바이러스 대비 태세 강화
상태바
정부, 지카바이러스 대비 태세 강화
  • 광주타임즈
  • 승인 2016.01.26 1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법정 감염병 지정 추진…신속 방역 체계 구축
[사회=광주타임즈] 태아에 '소두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지카 바이러스가 중남미에 이어 미국 등으로 퍼지자 보건당국이 법정 감염병 지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26일 지카 바이러스 발생 국가가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신속하고 체계적인 방역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법정 감염병 지정을 검토하고 대비·대응 태세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이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되면, 의료기관의 신고와 감시, 실험실 진단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지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의료기관에 지카바이러스 관련 정보 및 신고 기준 등을 안내했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실험실 검사법을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도 가능하도록 확대할 것을 검토 중이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해당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발열, 발진, 눈 충혈 등과 같은 증상이 경미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는다. 증상은 3~7일 정도 지속되는데 대부분은 별다른 치료 없이 회복된다.

다만 임산부가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소두증(小頭症) 신생아의 출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당국은 임신부는 중남미 등 유행지역 여행을 출산 이후로 연기할 것을 권고했다.

중남미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유행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태국 및 일부 태평양 섬 국가에서는 산발적으로 환자 발생 보고가 있다.

현재까지 국내 감염 또는 해외유입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국내는 전파의 매개가 되는 모기가 활동하지 않는 시기이기 때문에 전파 가능성은 낮은 상태라고 당국은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현재 여름에 해당하는 브라질 등은 계절 변동으로 모기의 활동이 감소하는 시점(5월이후)까지 유행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본부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한 후 여행 계획을 세우고 여행 중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