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성 없는‘입학사정관제’
상태바
공정성 없는‘입학사정관제’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04.14 1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입학사정관제의 허술한 운영으로 또다시 논란거리다.

감사원의 운영실태 감사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의 기초 자료인 학교생활기록부를 임의로 수정하는 등 문제가 곳곳에서 발견됐기 때문이다. 자기소개서와 교수추천서의 절반 이상에서 표절이 의심됐다.

조사대상인 66개 대학 입학사정관의 57%가 비정규직이었고, 규정을 위반해 퇴직 후 곧바로 입시상담업체에 취업한 입학사정관도 적지 않았다. 사정관 수도 턱없이 부족해 심한 경우 입학사정관 1명이 수험생 600여명을 심사한 대학도 있다.

고교와 대학 모두 편법을 동원해 입시제도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무너뜨리는 데 한몫 하고 있었던 것이다.

2008년 서울대 등에서 시범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는 학생들을 성적으로 줄 세우지 않고 잠재력과 소질을 보고 선발한다는 긍정적 취지 덕분에 전국 대학으로 급속히 확산됐다. 2008학년도에는 254명에 불과했던 입학사정관전형 합격자가 2013학년도에는 전체 합격자의 13.5%인 4만7000여명에 달했다.

‘공교육 복원’을 목표로 도입됐지만 오히려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를 높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의 주요 평가요소인 자기소개서를 대필하는 사교육업체가 성행한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인터넷에선 이런 업체에 도움을 받아 합격했다는 글도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면접 컨설팅, 포트폴리오 작성까지도 사교육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 누가 더 돈과 시간을 투자하느냐에 따라 당락이 갈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소득층에 유리하다는 지적이다. 또 학업성적을 중시하는 대학들에 의해 일반고보다는 특수목적고 출신이 수혜를 입고 있다.

부모가 고소득일수록 합격률이 높다는 여론도 공고하다. 박혜자 민주통합당 의원의 광주·전남 소재 고3 담임교사 62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10명 중 8명 정도가 ‘부모 소득이 높을수록 입학사정관제에 유리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 동안 입학사정관제가 확산된 배경에는 정부 재정지원이 있었다. 대학들은 정부 지원금을 받기 위해 내실을 기하기보다는 선발인원 확대에 주력해 왔다. 새 정부가 대입전형 자체를 간소화하기로 한 이상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과감한 개혁이 필요하다.

교육 환경과 입시 인프라가 열악한 지방으로써는 이런식으로 운용된다면 입학사정관제는 폐지가 마땅하다.

편집국장 김미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