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타임즈=사설]나윤수 논설위원=잊을만하면 터지는 게 교육계 비리다. 이번에는 사립유치원을 공립으로 전환하는 사업과 관련해 전직 시의원이 연루된 금품수수 의혹이 터져 광주교육청이 압수수색 당하는 수모에 빠졌다. 광주 서부경찰서는 해당 사업 담당 공무원들의 직무유기 혐의와 공무상 비밀 누설 혐의, 해외로 도피한 전직 C의원과의 유착관계를 수사 중이다. 여기에 금품수수 추가 대상자들이 더 있는지 수사할 예정이어서 파문이 확산될 조짐이다.
매입형 유치원 선정 특혜 의혹은 시중에 돌던 소문이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충격이 크다. 이 과정에서 전직 C의원은 필리핀으로 출국 후 두 달 가까이 휴대전화를 끈 채 잠적해 의혹만 무성해지고 있다. 광주시 교육청의 매입형 유치원 선정은 유치원 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비난할 이유는 없다. 학부형 동의가 필수적이지만 추진 과정이 투명하지 못하면서 복마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으니 참으로 안타깝다.
광주교육청은 그동안 말끝마다 청렴을 외쳐왔다.
그러나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 듯 한두 명의 비리 공무원으로 인해 전체 시교육청이 욕먹는 사태로 번질 조짐이다.
특히 시교육청은 이정선 교육감이 새로 당선되면서 심기일전해야 시점에 터진 비리로 교육 혁신에 커다란 암초를 만났다고 봐야 한다. 경찰이 수사에 나섰으니 결과를 지켜봐야 하겠지만 명명백백 속시원히 밝혀 주기 바란다. 교육 비리는 토착비리 성격이 강한만큼 끼리끼리 해먹는다는 원성이 나오지 않도록 경찰이 발본색원해 다시는 비리가 나오지 않게 뿌리를 뽑아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지역 교육은 위기다.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 인구 감소와 실력 저하로 위태로운 지경이다. 이런 마당에 광주교육 혁신에 앞장서야 할 공무원 비리는 광주 시민들에게 큰 실망을 안겼다. 더욱이 매입형 유치유치원 사업의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사업자체가 불투명 해진 것도 유감스럽다.
이렇게 되도록 감시 기능이 작동하지 않은 이유가 뭔지도 반성할 일이다. 광주 시민과 함께 경찰 수사를 결과를 지켜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