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타임즈]전효정 기자=광주지역 노후주택이 10만호를 훌쩍 넘겼으나 녹슨 노후수도관(옥내 수도관) 개량지원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박미정(민주당·동구2) 의원은 20일 3차 추경예산안 심사에서 “광주 지역에 30년 이상된 노후주택이 13만 호에 이르지만 지난해 기준 가정 내 녹슨 노후수도관(옥내급수관) 개량지원 사업은 137가구(0.1%), 5년 간 423가구(0.3%)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연도별로는 ▲2018년 38가구(4900만 원) ▲2019년 52가구(3800만 원) ▲2020년 86가구(8500만 원) ▲2021년 110가구(1억1200만원) ▲2022년 137가구(1억3700만원)이다. 지난해의 경우 단독주택 121가구, 공동주택 12가구, 어린이집 4가구를 지원했다.
지원대상 조건은 1994년 3월 31일 이전 준공된 건축물 중 수도관이 아연도강관 등 비내식성 자재인 경우, 수질검사 결과 녹물 등 수질검사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 공사비를 지원한다. 다만 최대 지원 가능 금액 이하의 80% 한도 내에서 공사비를 지원하기 때문에 자부담 비용이 발생한다.
박 의원은 “상수도본부가 관리하는 상수도관은 노후관 교체나 세척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며 “결국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서는 가정과 복지시설, 유치원, 어린이집부터라도 녹슨 노후 수도관 교체와 세척까지 이어져야 사업이 완성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어 “수도관 내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 없이 단순 수질검사를 기준으로 한다면 오래된 건축물은 언제든 녹물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