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내버스 노조, 민노총 갈아타기 진통
상태바
광주시내버스 노조, 민노총 갈아타기 진통
  • 광주타임즈
  • 승인 2016.10.24 1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노총에 희망 없다”…조직변경 현장투표 돌입
위원장-일부 지부 갈등 “투표 강행 vs 위원장 제명”
정년 연장·식당 수의계약 ·인건비 미집행 입장차
[광주=광주타임즈]서상민 기자=광주시내버스노동조합이 노조 설립 후 처음으로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의 조직 변경을 추진하면서 노노(勞勞)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정년 연장과 기·종점 식당 수의계약. 정비직·관리직 인건비 미집행을 둘러싼 광주시와의 갈등, 법적 다툼까지 빚어지고 있다.

광주시내버스노조는 24일 "한노총에서는 더 이상 개혁에 희망이 없다고 보고 민노총으로 조직을 변경키 위해 현장투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한노총 전국자동차노조연맹 소속 버스노조가 민노총 갈아타기를 추진한 것은 노조 설립 수 십년 만에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현장투표는 24일부터 11월1일까지 9일간 진행되며, 조합원 과반수 투표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조직 변경안이 가결된다.

광주지역 시내버스 운전원은 10개 회사 통틀어 1일 2교대제로 운영되는 대형버스 1569명과 격일제 중형버스 774명 등 모두 2343명에 이르며, 이 중 투표 대상 노조원은 1350명에 이른다. 운전원 중 90여 명은 현재 민주노총 산하 공공운수노조에 가입돼 있다.

박제수 위원장은 "중형 비정규직 운전원이 800명에 이르고 재계약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비리와 부조리가 만연하고 있고 업체 이익만을 위한 식당 수의계약, 관리직과 정비직 인건비 착복 논란 등 숱한 문제점에도 개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내부 논의 끝에 조직 변경을 추진케 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박 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노조 집행부의 이같은 움직임에 지부장들이 반기를 들면서 노노 갈등이 표면화되고 있다. 상당수 지부장들은 조직 변경을 위한 찬반 투표가 강행될 경우 즉각 박 위원장 해임(제명)을 위한 서명운동에 들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정년 연장에 대한 이견도 뚜렷하다. 위원장 측은 채용·금품 비리 의혹을 차단하기 위해 중형버스 운전원의 1년 단위 재계약 폐지와 65세까지 정년 연장을 통한 중형 운전원 무기계약화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지부장들은 "1년 단위로 재계약하되, 노조 내부적으로 충분한 검토 후 업체 측과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광주시는 "정년 연장 수단에 불과하고, 근무 형태 변경에 따른 추가 재정 부담만 연간 150억원에 달한다.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다른 특·광역시와 연계해 장기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종점 식당 수의계약에 대해서도 위원장 측은 "비리 투성에 음식의 질이 나아지질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시와 일부 지부장, 버스조합 측은 계약만료일인 내년 6월말 이전에 노사 TF팀을 꾸려 개선안을 마련하자는 유연한 입장이다.

정비직·관리직 인건비 미집행과 관련해서도 위원장 측은 "2012∼2014년 정비직·관리직수를 줄이거나 임금을 깎는 방식으로 40억원을 착복했다"며 즉각 환수를 요구한 반면 시는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6개 특·광역시 모두 미집행액을 환수하지 않고 자율 운영하고 있음에도 광주만 사용자 반발에도 지난해 미집행액 7억원을 전액 환수 조치했다"고 반박했다.

이런 가운데 위원장 측은 조직 변경 투표 강행과 준공영제 문제점 폭로 등을 공언하고 있고, 일부 시내버스 노조 지부와 광주시는 맞대응할 태세여서 시내버스 노사, 노노 갈등은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