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욕장 개장 눈앞…안전관리 ‘비상’
상태바
해수욕장 개장 눈앞…안전관리 ‘비상’
  • 광주타임즈
  • 승인 2016.05.31 1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법개정…각 지자체서 안전 총괄
전남, 섬 해수욕장 많아 전문구조인력 확보 어려워
道 “해경으로 다시 관련 업무 이관 해달라” 호소
[전남=광주타임즈]박재범 기자=전남 지역 해수욕장이 오는 7월1일부터 개장할 예정인 가운데 안전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일선 시·군이 인력 부족 등의 문제로 업무 추진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31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초 해수욕장 안전관리 업무를 국민안전처 산하 해양경찰이 다시 맡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나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았다.

해수욕장 안전관리는 해경이 담당해 왔으나 세월호 참사 이후 2014년 12월 해수욕장법이 제정되면서 자치단체가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해경은 수상구조와 인력·장비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해경이 구조인력을 점차 줄이고 있어 자치단체들이 전문 자격증을 소지한 안전요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여름철 2개월 동안 단기간 근무하는 조건에다 섬 지역 해수욕장은 지원자가 적어 인력 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올해 전남 지역에 지정된 해수욕장은 67곳으로 이 중 44곳이 섬 지역에 있다.

67곳 중 인력난과 운영 예산 문제 등으로 실제 개장하는 해수욕장은 55곳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안전처도 이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으나 법 시행 2년만에 개정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대신 자치단체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이나 훈련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전문성이 부족한 자치단체가 해수욕장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것은 무리"라며 "해경으로 다시 업무를 이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남 지역 해수욕장 이용객은 2013년 621만명(65곳)이었으나 세월호 참사 이후 2014년 244만명(65곳), 2015년 202만명(56곳)으로 줄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