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혁신도시 이주 정착금 놓고 갈등
상태바
광주·전남 혁신도시 이주 정착금 놓고 갈등
  • 광주타임즈
  • 승인 2016.02.15 18: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市, 가족동반 100만원·단독 30만원 지원 방침
道-나주시 “혁신도시 조기 활성화 찬물” 반대
[전남=광주타임즈]박재범 기자=광주시가 빛가람혁신도시 공기업 직원들을 유인하기 위해 이주 정착금을 지원키로 한 가운데 나주시와 전남도가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주 정착금 때문에 광주시와 전남도의 상생협력사업에 금이 가지 않을까 우려의 시각이 나오고 있다.

15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기관 이전일부터 2년 이내 광주로 이주해 1년 이상 거주한 직원 가운데 가족동반 가구는 100만원, 단독은 30만원의 이주 정착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최근까지 가족동반 165가구, 단독 43가구가 광주시에 이주 정착금 지원을 신청했다.

광주시는 이주 정착금 지원을 위해 최근 나주시와 전남도에 의견을 묻는 공문을 보냈다.

광주시가 이주 정착금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혁신도시관리위원회 의견을 수렴한 뒤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국토부의 승인을 받지 않고 이주 정착금을 지원할 경우 선거법에 저촉될 소지가 있다.

혁신도시관리위원회는 광주시, 전남도, 나주시, 국토부 관계자 등으로 구성됐으며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가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다.

광주시의 이주 정착금 지원 방침에 나주시와 전남도는 못마땅한 기색이다.

나주시는 혁신도시 이전기관 직원들의 조기 정착을 위해 5년간 주택 구입자금 대출이자 최대 1000만원과 전세자금 대출이자 최대 5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나주시의 주택 지원금에도 불구하고 이전기관 직원들이 교육, 의료 등 생활여건이 상대적으로 더 좋은 광주에 거주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데다 광주시가 정착금까지 지원할 경우 혁신도시 인구 유입률이 더딜 것으로 나주시는 우려하고 있다.

나주시 관계자는 "혁신도시 인구 유입이 더딜 경우 교육, 의료 등 생활 인프라 구축이 그만큼 늦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며 "광주시의 이주 정착금 지원은 혁신도시 조기 정착과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민선 6기 들어 광주시와 상생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전남도도 불편한 입장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혁신도시 활성화는 시·도간 최우선 상생협력 과제다"며 "혁신도시가 어느정도 자리를 잡은 다음에 광주시가 이주 정착금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