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교훈 어디로?…해상 안전불감증 여전
상태바
세월호 교훈 어디로?…해상 안전불감증 여전
  • 광주타임즈
  • 승인 2015.09.06 1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추자도 해상 인근서 낚시어선 전복…10명 사망
안전점검·승선인원 관리 부실 ‘세월호 복사판’
“비에 젖어서” 승선자 다수 구명조끼 미착용

[사회=광주타임즈]제주 추자도 해상에서 낚시어선이 뒤집히는 사고가 발생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세월호 침몰 대참사 후 발생한 이번 사고에서도 안전불감증 정황이 속속 제기되면서 논란을 낳고 있다.

6일 제주해양경비안전서에 따르면 전날 통신이 끊겼던 돌고래(9.77t)호가 다음날 오전 6시25분께 추자도 섬생이섬 남쪽 1.1㎞ 해상에서 인근을 항해하던 어선 H호에 의해 뒤집힌 채 발견됐다.

이 사고로 현재까지 이모(49·부산)씨, 김모(47·부산)씨, 박모(38·경남)씨 등 승선객 3명은 구조됐지만, 사고 인근 해상과 상추자·하추자 연결다리 부근, 추자항과 인근 양식장에서 시신 10구가 곳곳에서 수습됐다.

이날 이평현 제주해양경비본부장은 긴급 브리핑을 통해 “어선이 양식장 밧줄에 걸린 것 같다는 생존자 진술이 있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같은 사고 원인 외에도 ▲기상악화에도 출항 강행 ▲승선 인원 초과 ▲구명조끼 미착용 ▲정확한 안전점검 실시 여부 등 안전불감증과 관련된 여러 의혹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어선 출항 당시 해상에는 큰 너울성 파도가 일었고, 인근 해역에는 호우주의보도 발효됐었지만, 특별한 출항통제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출항신고서에는 승선객이 22명으로 기재됐지만, 명부에 없는 탑승객이 발견되는가 하면 명부에는 있지만 탑승하지 않은 승객도 발견되는 등 승선 인원이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아 수색 작업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선장이 제출한 출항신고서의 승선자 명단은 부실하기 짝이 없어 해경이 사고발생 이후 수시간이 지나도록 인원을 파악하는데 우왕좌왕하고 있다.

이 선박은 정원이 22명이지만 사고 이후 승선 인원은 19명에서 30여명까지로 알려지는 등 정확한 인원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

낚시어선은 출입항을 위해서는 해경에 승선인원 명부를 작성해 신고토록 규정하고 있다.

출장소나 치안센터가 설치된 항구에서는 해경이 직접 신고를 받고 있지만 소규모 어항에는 민간인이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돌고래호가 출항한 해남군 북평면 남성항은 소규모 항으로 분류돼 민간인이 출입항 신고를 대행하고 있다.

돌고래호 선장은 출항하기 전 명단을 정리해 업무를 대행하는 소장에게 명부를 넘겼다.

이 명부에는 선장 김모(46)씨를 포함해 22명이 승선한 것으로 해경에 보고됐다.

하지만 사고 이후 승선자 확인 과정에서 명부에 적힌 선주 등 일부는 승선하지 않았다.

또 이날 오전 전복된 낚시어선에서 구조된 낚시객은 명단에 없는 어처구니 없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낚시어선 관리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해경은 낚시어선 승선원에 대한 임검(臨檢)은 의무사항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해경 관계자는 “승선원 확인은 범죄경력 소지자 등 수상한 상황이 있을 경우에 한해 실시하고 있다”면서 “승객에 대한 임검은 의무사항이 아니어서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사고에서도 세월호 사고와 마찬가지로 수습된 시신 대부분에서 구명조끼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구명조끼가 축축해 여러 승객들이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았다’는 생존자의 진술도 제기됐다.

특히 사고 어선인 경우, 안전검사가 신고 사항일 뿐 안전 검사 주체가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아 선주나 선원이 안전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에 대해 안전관리가 제대로 됐는지 의문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사고 역시 세월호와 마찬가지로 안전불감증이 부른 참극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