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5·18 암매장 추정 무연고 유해 관리 시설 설치
상태바
광주시, 5·18 암매장 추정 무연고 유해 관리 시설 설치
  • /최현웅 기자
  • 승인 2024.06.25 1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방불명자 가족 DNA도 합동 관리할 방침
2026년까지 초저온설비 등 구비시설 설치
5·18조사위와 협약…“민관합동 조사 첫걸음”
지난해 5월 16일 해남서 5·18암매장 희생자 추정 유골 수습 모습. /뉴시스
지난해 5월 16일 해남서 5·18암매장 희생자 추정 유골 수습 모습. /뉴시스

 

[광주타임즈]최현웅 기자=광주시가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과정에서 출토된 유해, 확보된 행방불명자 가족 유전자 정보를 보관할 전담 시설을 오는 2026년까지 설치한다.

25일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조사위) 등에 따르면 조사위는 지난 4년 조사 기간 동안 발굴해낸 무연고 유해와 골편, 행불자 유전자 정보를 광주시에 이관하는 협약을 최근 맺었다.

협약 내용에 따라 조사위는 다음달까지 광주시에 유해와 유전자 정보를 이관한다. 유해 등을 이관받은 광주시는 산하 진상규명팀에서 관리하게 하되 훗날 별도 보관 시설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출토된 유해에 대해서는 시설 설치 이전까지 영락공원에 합동 안치한다는 복안이다. 유전자 정보는 생명윤리법과 개인정보보호법에 근거해 기준을 갖춘 위탁 업체가 당분간 관리할 전망이다.

나아가 광주시는 오는 2026년까지 초저온설비 등이 갖춰진 시설을 설치해 유해와 유전자 정보를 이곳에 보관할 방침이다.

5·18 무연고 유해를 둔 항구적인 조사와 관련된 시설이 설치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조사위는 지난 4년 동안의 조사 기간동안 21개 제보 장소에서 직접 발굴하거나 인계받은 유해 280기(직접 발굴 19기·광주교도소 무연고자 묘소 인계 261기)에서 채취한 유전자를 행불자 가족 유전자 정보 448개와 대조했으나 일치하는 사례를 확인하지 못했다.

조사위는 광주교도소와 전남 해남 우슬재 등지에서 실제 암매장 행위를 했다고 진술한 계엄군들의 중복 증언, 후속 발굴 과정에서 실제 유해가 출토된 점을 눈여겨 보고 있다.

유전자 정보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들이 항쟁 당시 실제 행방불명됐으나 모종의 이유로 신고되지 않은 자들일 수 있다며 암매장 소재와 5·18 관련성과 행불자 소재 확인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고아이거나 주민등록조차 없는 무연고자였던 당시 항쟁 참여 기층민중들이 모종의 이유로 숨진 뒤 광주 모처에 묻혔을 가능성, 이른바 '깜깜이 암매장·행불자'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용수 광주시 민주인권평화국장은 "골편과 유전자 정보 등 다루기 민감한 정보들에 대해서는 5·18 기록관을 이용해 보관하는 방식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송선태 조사위원장도 "향후 광주시가 국가에 이같은 시설 설치와 조사를 위한 예산을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 4·3의 사례처럼 5·18이 민관합동 방식의 조사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5·18조사위 4년 만에 마치며 이날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참배 전후 취재진과 만난 송선태 5·18조사위원장은 “암매장과 행방불명자 문제는 정권과 상관없이 앞으로 계속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5·18을 둘러싼 당시 미국·일본·중동·소련과의 외교적 관계, 그것이 국동아시아에 미친 영향 관계 등에 대해서는 조사를 다하지 못했다”면서 “미흡한 부분은 추가 조사를 통해 5·18의 진실이 분명하게 역사에 기록되고 국민과 후세,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부터 국가 차원 5·18 진상규명 조사활동을 이어온 조사위는 오는 26일 해단식을 끝으로 모든 활동을 마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