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은둔형 범죄 실태와 예방법
상태바
청소년 은둔형 범죄 실태와 예방법
  • 광주타임즈
  • 승인 2024.05.28 13: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타임즈]여수경찰서 학교전담팀 임채홍=시대가 빠르게 변화됨에 따라 범죄 형태도 변해가고 있다. 과거,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마주하는‘대면 범죄’에서 사이버 범죄와 같은 ‘비대면 범죄’로 바뀌었고, 요즘은 비대면 범죄를 넘어‘은둔형 범죄’ 발생이 높아지고 있다.

은둔형 범죄는 청소년 사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도박’과 ‘마약’이 있다. 이 범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범죄 통계 자료에 의하면 청소년 도박범죄의 경우 2022년 74명에서 2023년 171명으로 전년 대비 131.3% 증가했고, 청소년 마약범죄는 2022년 201명에서 2023년 790명으로 전년 대비 293% 늘었다.

청소년들 사이 은둔형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독단적 범행이 가능하며, 타 범죄 대비 죄의식 결여, 특정 연예인을 따라 하는 모방 범죄, 높은 호기심과 또래 집단의 지배적 의견에 따라 행동하는 집단적 동조 현상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청소년 은둔형 범죄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높은 전파성과 2차 범죄 피해이다. 또래 집단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청소년들은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 죄의식 없이 범죄를 접하며, 마약범죄의 경우 자금 마련을 위해 구매한 마약을 또래들에게 재판매하는 청소년 마약 공급책이 등장하면서 범죄 피해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 은둔형 범죄를 막기 위해서는 도박과 마약의 위험성과 부작용, 높은 중독성과 의존성에 대한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범죄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재범을 막기 위해서는 전문 상담사를 통한 치료 프로그램 등 제도적 지원 확충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아이들이 일상생활로 돌아갈 기회가 열려 있어야 한다.

마약중독 상담센터는 국번 없이 ‘1342’이며, 도박중독 상담센터는 ‘1336’으로, 검색창에 ‘도박문제 넷라인’을 검색하면 다양한 상담과 무료 자가점검도 가능하다. 청소년 미래를 위한 은둔형 범죄예방은 필수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