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전국 최초’ 농업용수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상태바
전남도 ‘전국 최초’ 농업용수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 /유우현 기자
  • 승인 2023.12.20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수지 930곳 수위 10분 마다 확인…효율적 관리 기반 마련
농업용수 통합관리시스템 초기 화면. 				       /전남도 제공
농업용수 통합관리시스템 초기 화면. /전남도 제공

 

[광주타임즈]유우현 기자=전남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저수지 수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성공, 효율적인 농업 수리시설 관리 기반을 마련했다.

전남도는 시·군과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을 한눈에 확인하고 가뭄과 집중호우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전남도 농업용수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전남도가 저수지 수위 측정장치가 설치 업체별로 달라 활용에 어려움이 많다는 현장 의견을 수렴해 이를 일원화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개발을 추진했다.
최근 개발한 시스템은 도내 농업용 저수지 3208곳 중 수위 측정장치가 설치된 저수지 903곳의 수위를 10분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저수지 소재지별 강우량과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영산강 수계 주요 지점별 수위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저수지 수위가 급변하면 시설물 관리자가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긴급 문자메시지’ 알림 기능도 탑재했다.

수위 측정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저수지 2305곳에 대해서도 시·군과 농어촌공사에서 현장 계측을 통해 시스템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도내 저수지 전체 수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전남도는 미설치 저수지에 대해 수위 측정장치를 지속해서 설치해 현장 계측 없이도 저수율을 원격으로 확인하도록 할 계획이다.

윤재광 전남도 농업정책과장은 “전국 최초로 개발한 농업용수 통합관리시스템이 농업 분야 디지털 대전환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며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와 반세기 만에 찾아온 가뭄 등 재해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