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째 폭설’ 광주·전남 교통 통제 정상화 수순
상태바
‘사흘째 폭설’ 광주·전남 교통 통제 정상화 수순
  • /양선옥 기자
  • 승인 2021.02.18 15: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전남 대설특보 모두 해제…오후엔 눈 그쳐
육로·하늘·바닷길 통제 유지…차례로 재개될 듯
크고 작은 교통·낙상사고 잇따라…총 46건 집계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에서 한 SUV 차량이 눈길에 고립돼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이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전남도 소방 제공
무안군 현경면 동산리에서 한 SUV 차량이 눈길에 고립돼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이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전남도 소방 제공

 

[광주타임즈]양선옥 기자=사흘째 내린 눈이 점차 잦아들면서 광주·전남 곳곳의 도로와 하늘·바닷길 통행 통제가 정상화 수순을 밟는다.

광주기상청은 18일 오전 11시를 기해 목포·무안·진도·영광·함평·해남·신안(흑산면 제외) 등 전남 7개 시·군의 대설주의보를 해제했다.

이로써 광주와 전남 17개 시·군에 내려진 대설주의보는 오전 중 차례로 모두 해제됐다.

이날 오전 11시 기준 적설량은 나주 14.7㎝, 장성 9.9㎝, 담양 9.7㎝, 광주 7.5㎝, 영암 7.4㎝, 함평 7.3㎝, 곡성·진도 6.8㎝, 강진 6.6㎝, 화순 5.1㎝ 등을 기록했다.

눈 자체의 무게로 인해 다져지거나, 쌓인 눈이 바람에 날려서 지난 17일 밤부터 내린 눈의 총량과 현재 적설량은 다를 수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전날부터 꾸준히 많은 눈이 내리면서 광주·전남 주요 도로에선 제설 작업이 펼쳐졌다.

광주시는 동문로·남문로·북문로·무진대로·빛고을로 등 도심 주요 도로 291개 노선(621㎞)에서 제설 작업을 벌였다.

무등로 (지산유원지 입구~원효사) 10.5㎞는 차량 통행이 금지됐다.

무등산 등지를 오가는 시내버스 19개 노선 90대는 우회 또는 단축 운행 중이다.

일부 노선은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증편 운행 중이다.

전남도도 주요 지방도·국도·고속도로 5513㎞ 구간을 제설했다.

지방도 4200㎞, 국도 563㎞, 고속도로 750㎞ 등이다.

경사가 급한 고갯길 ▲구례 성삼재(14㎞) ▲진도 두목재(1.5㎞) ▲진도 초평재(1㎞) ▲곡성 신풍재(6㎞) ▲곡성~구례 고산재(2.6㎞)등 3개 도로는 차량 통행이 제한됐다.

하늘길·바닷길도 끊겼다.

광주공항은 김포·제주를 오가는 항공기 12편이 모두 결항 또는 지연되고 있다.

무안국제공항은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이달 말까지 편성된 국내·국제선이 없다.

전남 서·남해 곳곳에 강풍·풍랑특보가 내려지면서 목포·여수·완도 여객선터미널을 오가는 53항로 86척 중 33항로 45척이 항구에 발이 묶였다.

무등산·지리산·내장산·월출산 등 지역 내 주요 국립공원 탐방로도 대부분 통제됐다.

내린 눈이 얼면서 도로·인도 곳곳이 미끄러워 교통사고와 보행자 낙상도 잇따랐다.

눈이 본격적으로 내리기 시작한 전날부터 이날 오전까지 광주에서는 소방당국 공식 통계에 포함된 교통사고만 22건이었다.

보행자 낙상은 12건 접수됐다.

전남도 크고 작은 추돌·전복·추락 교통사고가 잇따랐으나 재난 안전 통계에는 10건으로 집계됐다.

낙상사고도 2건 발생했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11시 이후부터는 광주·전남에 눈이 더 쌓이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19일 오전까지는 영하권 추위가 이어지겠으나 낮 최고기온은 10∼12도 분포를 회복, 평년 수준과 비슷하겠다.

이에 따라 오후부터 점차 교통 통행이 정상화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기상청 관계자는 “눈이 오전 중 그치겠으나, 내린 눈이 녹지 않아 도로가 미끄러운 곳이 있겠다. 교통 안전과 시설물 관리에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