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만 생태보전 위해 팔 걷었다
상태바
순천만 생태보전 위해 팔 걷었다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10.30 19: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민단체, '순천만 보전' 주민조례제정 추진
[순천=광주타임즈] 이승현 기자 = 세계적 습지로 떠오른 전남 순천만을 영구 보전하기 위한 주민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이 시작됐다.

30일 전남동부지역사회연구소, 순천환경운동연합 등 30여 개가 모인 '순천만지키기 시민회의'는 람사습지로 지정된 순천만의 생태계 보전에 필요한 조례를 주민발의로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는 이날 오후 조례호수공원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순천만 갯벌생산성은 람사습지로 지정후 방문객의 증가와 해안쓰레기의 방치, 유입수계의 오염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때문에 갯벌생산성이 70% 이상 줄고 종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는데도 순천시는 생태관광의 원칙을 무시한 관광실적 쌓기에만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이에 따라 "주민들이 직접 조례를 제정해 순천만을 보호할 필요성이 절실해 주민들이 직접 나서서 순천만을 보호할 수 있는 순천만보전조례 제정에 이르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시민회의는 연안지역 주민들이 상시적으로 순천만을 보호할 수 있게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도록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순천만보전조례' 제정을 촉구했다.

순천만보전조례는 우선 순천만 입장 수입의 30%를 환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비용으로 순천만 인근 주민들이 상시적으로 갯벌을 모니터링 하며 보호에 나설 수 있다는 취지다.

순천시의회 이복남의원은 "주민조례청구를 접수하기 위해서는 순천시 거주 유권자의 2% 이상의 개인정보를 담은 서명을 3개월 이내에 받아야 하는 까다로운 요건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으면 어려운 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순천시는 순천만 인근 대대동 등 일부 주민에게 입장료 30%를 지원하게 되면 별량면이나 해룡면 등 순천만과 인접한 타지와 형평성 논란이 일 수 있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더욱이 시가 매년 소규모 사업으로 각 동마다 예산을 분배하고 있어 중복이 우려되기 때문에 시민의견 수렴이 앞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순천시는 세계 5대연안습지 순천만으로 도심 팽창을 막기 위해 순천만 입구 오천동 일대에 정원박람회장을 조성하고 지난 4월20일부터 10월20일까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개최했다. 국내외 관람객 440만여 명이 다녀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