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근로, OECD 평균으로…“생산성 높여야”
상태바
장시간 근로, OECD 평균으로…“생산성 높여야”
  • /뉴시스
  • 승인 2024.02.13 16: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당 60시간 근무 비중 크게 줄어…지난 20년 간 7분의 1 수준 감소

[광주타임즈]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 중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특히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 근로자 비중은 우리나라가 오히려 OECD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가 발표한 ‘장시간 근로자 비중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에 따르면 2022년 주당 5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 근로자는 실근로시간 기준 253만명,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224만명으로 각각 전체 근로자의 12.0%, 10.3%로 나타났다.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 근로자는 실근로시간 기준 67만명,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58만명으로 각각 전체 근로자의 3.2%, 2.7%였다.

2022년 우리 임금근로자 중 주당 5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은 OECD 공표 평균(10.2%)과 비교해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은 0.1%p(포인트) 차이로 거의 비슷했으며, 실근로시간 기준은 1.8%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60시간 이상 비중은 우리나라(실근로시간 기준 3.2%,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2 2.7%)가 모두 OECD 평균(3.8%)보다 낮았다.

특히 2022년 주당 60시간 이상 임금 근로자 비중은 우리나라는 실근로시간 기준 3.2%,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2.7%로 OECD 평균 3.8%에 비해 오히려 각각 0.6%p, 1.1%p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년 만에 주당 근로 시간이 대폭 줄어든 것이다. 2002년 우리나라 5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실근로시간 기준 47.9%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42.6%로 무려 절반에 가까운 근로자가 50시간 이상 일했다.

그러나 2002~2022년 OECD 평균이 2.1%p 감소하는 동안 우리나라가 15배 이상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와 OECD 평균과의 격차는 실근로시간 기준 2002년 35.6%p에서 2022년 1.8%p로,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은 30.3%p에서 0.1%p로 대폭 감소했다.

2002년 60시간 이상 임금 근로자 비중은 실근로시간 기준 22.1%,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20.0%로 약 20% 가량의 근로자가 해당됐다. 그러나 2002~2022년 OECD 평균이 2.0%p 감소하는 동안 우리나라가 8배 이상 크게 감소하며 2022년의 6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2,7%로 2002년의 7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근로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근로시간을 더 단축하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필요하지만, 장시간 근로 해소가 정책 목표가 될 시기는 이미 지났다”며 “규제 위주 근로시간 정책 패러다임을 유연성과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 패러다임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