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공중보건의 감소 ‘의료 공백’
상태바
전남 공중보건의 감소 ‘의료 공백’
  • 광주타임즈
  • 승인 2014.04.09 18: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타임즈] 편집국장 김미자= 군복무를 대신해 농어촌 지역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중보건의가 2009년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다.
때문에 공중보건의에 의존하고 있는 농어촌 의료정책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의료의 질을 높이고 의료 공백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남도내에 올해 배치될 공중보건의는 의과 385명, 치과 77명, 한의과 187명 등 649명으로 지난해 673명에 비해 24명이나 줄어들었다.

지난해 겨우 1명이 증가한 것을 제외하곤 최근 3년간 매년 준 것이다. 2010년 785명과 2011년 711명, 2012년 672명 등 매년 40∼70명이 감소했다. 이는 불과 4년 전인 2010년과 비교하면 무려 136명(17%)이나 줄어든 것으로 농어촌 의료공백이 불가피하게 됐다.

공중보건의사가 줄어든 것은 의·치학 전문대학원 도입으로 군복무 인력이 감소한 데다 여학생 비율이 늘어난 때문으로 풀이된다.

공보의 인원이 줄다보니 인력 배치에도 어려움이 적지 않다. 농·어촌 의료취약지역인 도서벽지 등을 배려한다고는 하지만 역부족이란다.
전남도는 대표적 의료 사각지역인 섬 지역에 2명을 배치하는 한편 지방의료원과 병원선, 이동진료반에 우선 배치후 잔여인력은 도내 응급의료 거점병원에 최소인력을 배치키로 했다.

도내 민간 의료기관이 치과와 한의원을 포함 1,827개로 전국 대비 3% 수준에 불과한데다 도내 212개 면 단위 가운데 의원이 없는 이른바 무의촌이 120여곳에 달하는 상황에서 공보의 감소는 문제가 아닐수 없다.

게다가 공보의들이 맡고 있는 농어촌 지역 진료는 전문성이 떨어지고 야간에는 의료진이 없는 경우가 많아 주민들의 불만이 높다.

또 농어촌에 온 공보의 사이에서는 오지 근무 기피 현상도 일어나고 있다. 실제 공보의 2~3년차가 되면 오지를 기피해 원하는 곳으로 보내 주기도 한다고 한다.

결국 오지 주민들은 임상경험 등이 적은 신참 공보의를 만나기도 해 상대적으로 질 낮은 의료 혜택을 받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셈이다.
농어촌지역 공중보건의 숫자는 2022년에는 현재의 5분의 1 수준으로 격감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와 가뜩이나 의료복지가 열악한 농촌주민들을 더욱 우울하게 만든다.

농어촌은 이미 초고령사회로 접어들어 노인층의 의료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으며, 농작업의 상당 부분을 부녀자에 의존해 부녀자들의 건강도 사회문제로 크게 부각된 지 오래다.

공중보건의 수급정책이 구멍 난다면 농촌의 사회안전망은 포기되는 것과 다름없다.
공중보건의 확충을 위해 의료취약지역 근무의사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절실하다.

더불어 공중보건의 의존도가 높은 현재의 농어촌 의료 대책의 효율적 개선이 시급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