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아파트에 불이 난 순간 여러분의 선택은?
상태바
[기고]아파트에 불이 난 순간 여러분의 선택은?
  • 광주타임즈
  • 승인 2014.03.05 17: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순소방서 현장대응단 소방위 한영준
[광주타임즈] 아파트 화재는 초기진압이나 대피가 지연됐을 경우 귀중한 인명과 막대한 재산피해는 물론 연소확대 시 위층 또는 옆집으로 화재가 번질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입주민들의 대처 능력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은 화재에 대한 위험 자체를 잘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나 화재는 언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이러한 아파트 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입주민들 스스로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화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파트와 같은 주거시설 화재의 대부분이 가스레인지 취급 부주의나 전기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아파트 입주민들도 음식물 조리 중 화재예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외출 시 전기플러그를 뽑는 것을 생활화해 화재예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아파트 베란다에는 화재 등 비상시에 옆집으로 대피할 수 있는 경량칸막이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이 경량 칸막이는 붙박이장이나 세탁기 등 장애물로 막혀있는 곳이 대부분이고 더구나 경량 칸막이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주민이 대다수다.

베란다에 있는 경량칸막이가 화재 등 위급한 상황에서 자신과 가족들의 목숨을 구할 수 있는 탈출로인 것을 인지하고 평상시 장애물들을 제거해 위급할 때 사용
할 수 있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또 아파트 화재 진압 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무분별한 주차로 인한 소방차 진입장애다.

아파트 주차장 내에 ‘소방차량 전용주차구역’이 마련돼 있지만 불법 주차 차량으로 무용지물인 경우가 많다.

예고 없이 발생하는 화재에 대비해 소방차량 진입이 용이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해선 불법 주·정차를 하지 않도록 입주민들의 협조가 필요하다.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관리사무소 직원이나 주민들이 아파트에 설치돼 있는 옥내소화전을 활용한 초기 소화가 중요한 만큼 소방훈련시 관리자뿐만 아니라 아파트 입주민들도 소화기나 옥내소화전을 이용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방법과 안전대피훈련을 반복 실시해 화재 대처 능력을 키우고 소방안전수칙을 익히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