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군 두원면서 240cm 높이 석탑 첫 발견
상태바
고흥군 두원면서 240cm 높이 석탑 첫 발견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12.04 1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층석탑 현재 2층만 남아 … 고려 후기 조성 추정

[고흥=광주타임즈] 류용석 기자 = 고흥군 두원면에서 고려 후기인 13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이 발견되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남도석조불상연구소 이홍식소장은 지난 3일 국립순천대학교 박물관장 최인선 교수, 부산문화재연구소 민학기소장과 함께 시행한 고흥군 두원면 학곡리 여산송씨 선산 현장 조사에서 240cm 높이의 석탑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탑은 특히 1층 탑신석이 고준(高峻)한 백제계 석탑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백제계 석탑의 변천과정을 설명해줄 중요한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학곡리 석탑은 오층 석탑으로 추정되며 현재 이층만 남아 있으며 기단부 위에 각각 2개의 탑신석과 옥개석이 쌓여 있는 상태다.

기단부는 모두 망실되고 지대석, 혹은 기단갑석으로 추정되는 네모난 부재 위에 1층 탑신석이 서 있다.

1층 옥개석 위에 있는 탑신석은 탑신 괴임보다 크기가 작아 3층 탑신석으로 추정되며, 이 위에 올려져 있는 옥개석은 3층 옥개석으로 판단된다.

상륜부에 올려져 있는 부재는 뒤에 보충한 것으로 석탑재가 아니다.

두 탑신석에는 모두 우주(隅柱 모서리기둥)가 새겨져 있고 각 면에 모두 넓은 액자 형태가 조각했다.

또한 탑신석을 옥개석 위에 끼웠던 흔적이 있으며 탑신 괴임이 3층부터 2단으로 변한 것은 위태로운 상승감에 나름대로의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로 여겨진다.

이와 함께 옥개석 처마를 안쪽으로 사절시킨 점과 절수구를 넓게 표현한 것으로 보아 빗물 차단에 공력을 들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층급받침이 생략된 점이나 치석술이 미숙한 것으로 보아 백제계 석탑의 한 특징인 초층 탑신석이 매우 고준해지는 양식의 마지막 시기인 13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최인선교수 및 민학기소장의 평가다.

탑신부 초층 탑신석이 고준한 양식은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국보 9호)에 시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탑을 발견한 이홍식씨는 “이곳은 주민들이 ‘탑쟁이골’ 혹은 ‘절터골’로 부르는 곳으로 두원면 일대 불교문화재를 조사하던 중 발견했다.”며 “앞으로 고흥군청 및 관련 학계에서 전문적인 조사연구를 통해 이 석탑과 용산리석조보살좌상 및 고흥군 내 고려시대 불교예술과의 관계를 밝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남도석조불상연구소 이홍식소장은 민간 불상연구자로 문화재청과 조계종이 2010년 펴낸 ‘한국의 사지-전남도편’ 조사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었고, 전라남도 석조불교문화재를 집대성한 ‘전라남도의 석조불교문화재’(500쪽, 2012년) 자료집을 펴내는 등 전남도의 불교문화재의 발굴, 전파에 혼신의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소장은 최근 전북 남원시 원선암석조약사여래입상(남원시 송동면 사촌리) 등을 최초로 발견, 학계에 알리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