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양극화, 서민은 고달프다
상태바
소비 양극화, 서민은 고달프다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03.20 1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소비 양극화 현상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저소득층은 ‘의식주(衣食住)’ 부문에, 고소득층은 ‘여가·교육’ 부문에 소비 비중이 커지고 있다.
19일 통계청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작년 소득 하위 10%인 1분위의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주류음료 비중은 23.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뒤이어 주거·수도·광열 부문 소비가 18.2%, 보건 10.9%였다. 이 세 항목 소비가 전체 소비지출의 52.7%에 달했다.
의식주와 질병 치료 등을 위한 기본적인 씀씀이가 전체 소비의 절반이 넘은 것이다.
반면 소득 상위 10%인 10분위의 식료품·비주류음료(11.1%), 주거·수도·광열(7.7%), 보건(5.8%) 등 세 항목 비중은 총 24.6%로 저소득층의 절반도 되지 않았다.
고소득층의 소비 비중이 가장 큰 것은 교통(14.4%)이다. 교통은 고가의 자가용 운영과 기름값 부담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 다음으로 교육(14.0%), 음식·숙박(12.1%) 순이었다.
고소득층 교육 소비 비중은 저소득층(5.5%)의 2.5배에 달해 교육 양극화가 심각한 것을 보여줬다. 이는 교육 소비 중에서도 학원 및 보습교육 소비 비중이 고소득층 9.0%, 저소득층 3.1%인 것에서 보듯 사교육비 지출 부담이 큰 격차를 보이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이 기본적인 생활을 위해 사용하는 소비 비중은 점차 커지는 반면 고소득층은 여유로운 삶과 미래 준비에 더욱 많은 돈을 쓰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총자산 증가율 격차도 3배 가까이 벌어졌다. 국내 20대 그룹 자산이 78% 불어나는 동안 중소기업 자산 증가율은 26% 수준에 그쳤다. 양극화 현상은 기업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이같은 사회 전반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우리사회가 보편적으로 물질의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평등이 보장될때 만족 정도가 행복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게 행복과학자들 진단이다.
우리국민의 행복지수를 높이려면 저소득층과 같은 소외 계층에 대한 정책적 배려를 통해 고루 잘사는 사회를 만드는 게 지름길이다. 양극화 해소와 사회안전망 확충 같은 정책이 정착될때 비로소 진정한 사회 통합도 이루어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