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재해에 ‘맥 못추는’ 전남
상태바
환경재해에 ‘맥 못추는’ 전남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08.06 1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적조 이어 영산강에 녹조 비상…대책없어 시민들 ‘발동동’
[전남=광주타임즈] 이창원 기자 = 전남지역의 바다와 강에 악재가 이어지고 있다. 남해안에서 시작된 적조(赤潮)가 전남 해역으로 확산되고, 4대강의 하나인 영산강에서는 상류까지 녹조가 확산되는 등 전남의 바다와 강이 환경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6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주의보가 내려진 이래 남해안에서 유해성 적조는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중이다.

전남에서는 1995년 첫 적조 출현 이후 18년동안 666일간 적조가 발생, 어패류 2천190만 마리가 폐사해 480억원 상당의 피해를 입었으며, 지난해에도 가을 적조까지 36일간 적조띠가 형성되면서 어패류 306만 마리(24억2000만원)가 폐사한 바 있다.

당국이 황토 살포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수온이 좀처럼 내려가지 않으면서 적조는 계속 확산되는 추세다.

이에 황토 살포 논란도 다시금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수온 조절이나 산소공급기 조작 실패, 냉수대 등도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어민들은 "적조경보가 내려진 해역에서 끌어쓴 물이 1차적 문제"라며 "제때 황토 살포가 됐더라면 피해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격앙된 반응이다.

피해 어민들은 6일 "고밀도 적조가 출현했다는 문자를 받은 다음 날 피해가 났다"며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황토 살포 금지령을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황토의 방제효과를 놓고 전남도와 해양수산부, 전문가 의견이 서로 엇갈리면서 '황토 논쟁'은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치어 사전 방류와 성어 조기 출하 등에 대해서도 사후약방문식 대책만 나오고 있다.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상태에서 적조 피해가 확산될 경우 '황토 금지령'에 대한 책임론이 부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이처럼 적조로 인해 각종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강에서는 녹조가 광범위 하게 관찰됐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의 현장조사 결과, 나주 느러지전망대에서 몽탄대교까지 7㎞ 구간을 비롯,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된 죽산보와 승촌보 일대, 보 상류인 광주 서구 서창교 일대까지 광범위하게 녹조가 관찰됐다.

영산강 주요 지점에서 측정된, 녹조를 일으키는 클로로필-a의 평균 농도는 4대강 건설 이전보다 최고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폭염이 이어질 경우 낙동강 마냥 녹조가 대량 발생할 개연성도 높아지고 있다.

광주환경련 관계자는 "감사원 감사 결과 22조원의 천문학적인 혈세가 투입된 4대강이 총체적 부실로 드러났다"며 "물관리시스템이나 지자체의 투자미흡에 대한 개선은 뒷전으로 밀리고 당론까지 무시한 채 영산강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한 결과 지금은 녹조와 침수, 짙은 안개 등 각종 환경문제를 낳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전남도는 특보지역이 확대되는 가운데 육상 양식장에서 첫 피해가 발생하고, 장마 후 폭염이 예고되면서 경계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도는 적조 이동 경로를 실시간 감시하는 한편 수류를 이용한 적조띠 분산, 전해수와 산소발생기, 액화산소 가동, 먹이 공급과 육상양식장 취수 중단 등을 유도하는 등 다각적인 방제와 함께 어민들의 주의를 거듭 당부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