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단, 종합방제센터 10년째 ‘답보’
상태바
여수산단, 종합방제센터 10년째 ‘답보’
  • 광주타임즈
  • 승인 2013.03.17 17: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림산업 2공장 폭발 참사 17명 사상

동양 최대 석유화학단지로, 국내 유해화학물질의 30%를 취급하고 있는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대규모 폭발과 정전사고 등이 잇따르고 있으나 이를 통제할 종합방재센터 설립은 수년째 미뤄지고 있다.

새 정부가 추진중인 '국립 화학물질안전원'의 전남 유치와 함께 재난을 시스템적으로 제어할 방재센터 설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7일 전남도와 여수시, 여수산단 기업체 등에 따르면 1969년 첫 입주가 이뤄진 여수산단에서는 1972년 4월 LG칼텍스(현 GS칼텍스) 나프타 저장탱크 폭발사고를 시작으로 지난 14일 대림산업 폭발사고까지 대규모 정전을 포함, 20여 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2004년 여수시가 국무조정실 등에 종합방재센터 설치를 촉구한이후 2008년 5월 정전사고는 여천NCC와 한화석유화학, 대림산업, GS칼텍스, LG화학 등 간판급 업체들이 줄줄이 피해를 보면서 최소한 1000억원의 피해가 발생하면서 산단 사고의 정점을 찍었다.

당시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사고 발생 하룻만에 여수를 찾아 철저한 원인규명과 사고 수습, 재발 방지를 지시한 뒤 산업안전공단 측에 "방재센터 설치 등 사고를 차단할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중화학 공장 관계자들과 시민사회단체도 무사고를 위한 콘트롤 타워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그로부터 10년. 방재센터 건립은 여전히 미뤄지고 있고, 그 사이 여수산단에서는 2011년 1월 대규모 정전으로 20여 업체의 가동이 중단됐다. 2012년 6월에는 한국실리콘 가스 누출로 42명이 중독됐고, 이번 폭발사고로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대형 사고와 인명피해가 끊이질 않고 있다.

이에 전남도와 여수시는 방재센터 건립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보고 국고 지원을 적극 건의할 방침이다.

여수산단이 조성된 지 40년이 넘은 노후산단인데다 국내 굴지의 석유화학업체를 포함해 220여 업체가 폭발성과 독성이 강한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점이 1차적 이유다. 환경단체는 "국내에서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의 30%가 여수에 밀집돼 있어 연쇄 폭발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이번에 사고가 난 대림산업 역시 황산을 비롯, 무수크롬산, 수산화나트륨, 메탄올, 톨루엔, 질산나트륨 등 6종의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종합방재센터 건립에 필요한 비용은 160억∼200억 원으로, 도와 여수시는 국가산단인 만큼 전액 국비 지원을 원하고 있다. 종합상황실을 비롯, 감시·분석시스템, 악취 분석, 기존 시스템 연동 등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산단 내 중요 지점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 감시하고 이상 징후 발생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사전 조치 시스템을 갖추는 게 골자다.

아울러 구미 불산 누출사고를 계기로 정부에서 추진중인 화학물질안전원도 구체적인 계획이 정해지진 않았지만 여수산단의 중요성을 감안해 전남 동부권에 들어서야 한다는 의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화학물질안전원은 본원 1개와 권역별 센터가 건립될 예정이지만, 규모나 장소, 설립 시기 등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이 아직 없다"고 말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유해화학물질이 국가적 관심사로, 특히 여수산단의 경우 화약고로 떠오른 만큼 방재센터, 안전원과 함께 환경성 질환 연구센터 건립도 고려해 볼 때"라고 말했다.
/김성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