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타임즈]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 대책위원회 사무국장 정총무=“광주 군 공항 무안 이전은 광주‧전남 상생을 위한 것이다” 이 말은 광주시에서 군 공항 이전 표어처럼 쓰고 있는 문구다.
하지만 이 같은 말은 광주시의 바람과 다르게 무안군과 갈등을 자초한 말이 됐다.
왜 이렇게 됐을까? 제3의 입장에서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들여다봤을 때 광주시의 주장이 옳아 보인다고 생각 할 것이다.
광주시가 무안보다 인구도 많고 수 십년 동안 시민들이 소음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옮기는 것이 당연한데, 무안군이 자신들의 이익만을 앞세워 ‘민간 공항’만 원하고, ‘군 공항’은 반대한다는 것이다.
이전을 찬성하는 사람들의 생각 또한 같을 것이다. 나 또한 이리 생각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내 생각이 편협하고 잘못됐다는 결론이 나는 데 얼마 걸리지 않았다. 나는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이 당연하다는 일부의 편견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까지 소음피해를 입었던 광주시민들의 ‘군공항 이전’바람을 어찌 탓만 하겠는가.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는다. 하지만 광주시가 앞세우고 있는‘인구 증가와 도시팽창’의 논리만으로 군 공항을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은 너무 무책임해 보인다.
광주 군공항은 1968년에 설립됐다. 이후 전투비행장 인근 주민들은 지속적인 소음피해를 겪고 있다. 어느 날 갑자기 더 심해진 소음이 아닌 이제껏 지속적이었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군공항 인근 지역에 소음피해가 당연히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군공항 인근지역을 개발한 것이다.
광주시의 잘못된 도시개발로 인한 시민 피해를 마치 무안군이 군공항 이전을 반대해서 생긴 것 마냥 몰아붙이며 지탄의 대상으로 만들어 버렸다.
이 뿐만이 아니다.‘광주·전남 상생’이라고 외치는 광주시‘표어’에 진정성 또한 의심스럽다.
지난 4월 이용섭 광주시장은 기자간담회에서 “10만 명이 안 되는 곳은 소음피해가 없을 것이다”라는 발언을 했다.
이 같은 발언은 무안군 만이 아니라‘ 전남 지역민’ 모두의 인권을 무시하는 발언이다.
지난해 기준 광주시 동구의 인구는 9만 여명이었다. 현재도 10만 명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 발언대로라면 군공항을 동구로 옮기면 소음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된다.
또 이 시장의 논리대로라면 10만 명이 되지 않는 곳만 찾아 군공항을 이전해야하고, 인구 증가에 따라 수시로 군공항이 이전돼야 한다.
참으로 무책임한 말이 아닐 수 없다. 목적 달성을 위해 비논리·비상식적인 발언도 서슴지 않는 작금의 상황이 유감스럽기만 하다.
촛불혁명을 통해 국민의 삶은 민주주의로 나아가고 있고 국민과 소통 ‧ 화합하여 나라다운 나라를 지향하고 있는 지금 동시대 함께 살고 있는 ‘시 자치단체장’이 할 수 있는 발언은 아닌 것이다.
필자는 광주와 무안이 상극이 된 답을 여기서 찾았다. 광주 군 공항 이전 사업은 주민 피해를 동반하는 기피시설이다.
단체장의 그릇된 사고로 군사정권 시절처럼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그들의 행태에서 갈등이 시작된 것이다.
‘인구가 적다’는 사람이 살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소음피해가 적을 것’이라는 말도 피해가 없다는 말이 아닐 것이다.
무안 지역민들이 고향과 삶의 터전을 잃어야 하는 아픔, 소음피해와 지역발전 저해로 인한 지역민의 피해, 삶의 터전을 지키고자 하는 무안군민들을 무작정 비난할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자 하는 진정성 있는 마음이 먼저다.
광주 군공항 이전 사업은 시작과 과정 모두 잘못됐다. 어렵고 힘들더라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전 추진 절차와 방법의 문제를 인정하고 이전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한다.
그렇게 해서 원하는 지역이 유치할 수 있는 공모사업으로 전환해야한다.
무안군민 75%가 군공항 이전을 반대하고 있다. 예비 이전후보지로 거론됐던 해남과 고흥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일방적 추진의 결과라 할것이다.
누구를 탓할 수 없다. 만약 광주시가 지금처럼 정치적 힘과 비정상적 경로를 통해 찍어 누르려 한다면 극한의 비난을 받을 것이다.
기울어진 상생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것은 무안군이 아니라 광주시다. 광주시가 이젠 결단을 내려 다시 시작하는 것이 진정한 광주‧전남 상생의 시작이 될 것이다.